모수적 방법과 비모수적 방법은 각각 언제 써야할까?
많은 통계적 추론은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에 의해서 출발한다. 이렇게 우리는 모수를 함수형태의 분포를 가정하여 접근하는 방법을 모수적 방법(Parametic method)이라고 한다. 반대로 모집단의 분포를 가정하지 않고 접근하는 방법을 비모수적 방법(Non-parametic method)라고 한다. 모수적 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연속형 확률분포 정규분포, 일양분포, 지수분포, 로그정규분포, t분포, 카이제곱분포, f분포, 감마분포, 베타분포 등 이산형 확률분포 베르누이분포, 이항분포, 포아송분포, 기하분포, 초기하분포, 음이항분포 등 그렇다면 비모수적 방법은 어디에 쓰일까? 비모수적 방법은 정규성 검정에서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증명되거나, 표본의 개수가 10개 미만일 때 사용..